운영체제/이론

(25) Round Robin[RR] Scheduling (CPU scheduling)

geonwoopaeng@gmail.com 2020. 9. 20. 14:29

### Round Robin[RR] Scheduling ###

: process사이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, 순서대로 시간단위(time quantum)로 cpu를 할당하는 방식

(각 process는 사전 정의된 cpu time(time quantum, time slice) 동안 cpu를 할당합니다.)

<특징>

: fifo(first input first output) queue를 사용한다.(준비 대기열은 circular queue를 사용합니다.)

: time quantum은 일반적으로 10~100msec입니다.

: scheduler은 ready queue를 돌고 각 process에 1time quantum씩 cpu를 할당한다.(골고루 자원을 나눠주는 방식)

: 미리 정해진 time quantum이 지나면 time interrupt가 발생하여 다음 process를 schedule하기 위해 모든 cpu자원을 회수합니다.

< *Time quantum used in RR scheduling >

: time quantum의 길이는 system 성능에 영향을 줍니다.

: shorter time quantum -> better response time

: longer time quantum -> lower context switching -> overhead 증가

: time quantum is very large -> FCFS scheduling

: time quantum is very small -> frequent context switching, heavy system overhead 증가

=> SJF average turnaround가 높지만 better reponse를 가진다.

(골고루 나눠주는 방식으로 1나의 process가 빨리 끝나는 구조가 아니다 => average turnaround가 높다)

 

 

출처: Operating System Concepts 10th Ed (John Wiley & Sons, Inc. 2018)

(context switching time = 0(이상적))

 

01
출처: Operating System Concepts 10th Ed (John Wiley & Sons, Inc. 2018)

(average turnaround time이 가장 낮은 경우가 좋다 => time quantum이 가장 길때)

반응형